Spring Framework (2)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Boot로 H2 console 연결하기 Spring Framework 5: Biginner to Guru 영상을 공부하며 정리하는 내용이다 Spring Boot를 사용하면서, in memory 방식의 데이터베이스인 H2 database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법이다 우선 pom.xml에 의존성 주입을 해준다. 스프링부트의 장점이 알아서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는 버전을 initilizer에서 지원해 주니 버전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h2 console과의 연결을 위한 설정을 application.properties에서 해준다. yml 확장자로 하면, spring.datasource 부분이 중복 되는 걸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저 설정 중에서 중요한 것은, datasource.url 부분과 username이다 밑의 사진에서 h2 conso.. Spring MVC란 SKPlanet Tacademy에서 제공하는 Spring Framework Basic 강의와, 스프링 철저 입문에서 제공한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MVC 패턴이란, Model View Controller의 architecture pattern으로, Business logic과 Presentation logic(사용자 interface)을 분리하고자 한다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하여, 각자에게 영향 없이 수정 변경할 수 있다) Model: application의 정보(데이터, business logic 등)를 제공한다 View: 모델이 가진 데이터를 참조, 클라이언트에 반환할 응답 데이터를 생성 Controller: 모델과 View 사이의 상호작용 관리, request를 받아 모델과 뷰의 호출을 제어한다.. 이전 1 다음